::: KCCS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
main_5.GIF main_6.GIF main_7.GIF main_8.GIF

 

 

 

 

 

 

 

 

 
작성일 : 22-05-06 11:47
성경과 역사 속에서의 교회(3_2)
 글쓴이 : 조동호
조회 : 3,951  
   rm_hcbream_third.pdf (204.3K) [19] DATE : 2022-07-28 08:01:52
   성경과 역사 속에서의 교회.pdf (2.6M) [15] DATE : 2022-08-02 16:58:50
   http://kccs.info/with_home/bbs/board.php?bo_table=history&wr_id=68&pag… [1526]

성경과 역사 속에서의 교회(The Church in the Bible and in History)

강연: 하비 C. 브림 2세(Harvey C. Bream, Jr.)

번역: 조동호

역자 서문

이 자료는 신시내티기독대학교 및 성경대학원(Cincinnati Christian University and Cincinnati Bible Seminary)의 총장을 역임했던 하비 C. 브림 2세(Harvey Cleveland Bream, Jr.) 목사가 1989년 9월 10일부터 13일까지 총 4회에 걸쳐서 플로리다 올랜도에 위치한 싸우스이스트그리스도의교회(Southeast Christian Church in Orlando Florida)에서 행한 강연, ‘성경과 역사 속에서의 교회’(The Church in the Bible and in History)를 녹음한 4개의 오디오테이프들에 담긴 내용을 번역한 것이다. 역자는 이들 오디오테이프들을 오디오 파일들로 변환하였고, 이것들을 다시, 불완전하고 오류가 많을 테지만, 아무튼 문자화하였다. 그리고 이 오디오테이프들을 손에 넣은 지 20여년이 흐른 지금에 와서야 우리말로 번역을 시작하게 되었다. 오디오 파일들과 텍스트들은 그리스도의 교회 연구소(http://kccs.info) <그리스도의 교회>난 게시판 46-54, 81-89번에서 듣고 읽고 다운로드할 수 있다.

http://kccs.info/with_home/bbs/board.php?bo_table=history

하비 C. 브림 목사는 95세를 일기(一期)로 2018년 12월 1일 소천하였다. 하비 브림은 영감을 주는 교사, 설교자, 전도자, 찬양리더, 저자, 편집자, 학장, 총장, 이사였다. 그는 76주 이상 산상집회(Christian Service Camp)와 452주 이상 부흥집회를 인도하였고, 세 개의 교회들을 설립하였으며, 일곱 개의 교회들의 설립을 후원하였다. 그밖에도 그는 수많은 컨벤션들, 모금을 위한 집회들(faith-promise rallies), 세미나들, 부흥회들, 청소년 집회들, 남성 집회들, 리더십 집회들에서 강연하였다. 신시내티 기독대학교에서는 22년간 개인전도학을 강의하였고, 67년간 ‘그리스도인환원협회’(Christian Restoration Association, 독립 그리스도의교회들 곧 Christian Churches and Churches of Christ의 후원을 위한 단체)의 이사로 섬겼다.

강연내용은 총 6부로 나뉘어져 있다.

제1부 개론(INTRODUCTION): 신약성경교회, 어떻게 시작되었는가?(The New Testament Church: How It All Began). 

제2부 배도(100-1517) [THE APOSTASY(100-1517)]: 무엇이 교회에 잘못되었는가?(What Went Wrong with the Church?).

제3부 그리스도교(개신교) 개혁(1517-1800) [THE PROTESTANT REFORMATION(1517-1800)]: 돌아가는 길(The Road Back). 

제4부 환원운동(1793-1900)(출범과 성장) [THE RESTORATION MOVEMENT(1793-1900) (Beginnings and Growth)]: 하나의 새로운 시작(The Restoration Movement: A New Beginning). 

제5부 환원운동(1900-1969) (배도) [THE RESTORATION MOVEMENT(1900-1969) (Apostasy)]: 제20세기 배도, 또 다른 잘못된 회전(The 20th Century Apostasy: Another Wrong Turn). 

제6부 환원운동(1923-1974) (부활) [THE RESTORATION MOVEMENT(1923-1974) (Resurgence)].

아래의 강사소개는 플로리다 올랜도에 위치한 싸우스이스트그리스도의교회 목사가 1989년 9월 10일 저녁 집회 때 초청강사인 하비 C. 브림 2세를 집회 참석자들에게 소개한 내용이다.

강사 소개

우리는 여러분을 초대하였습니다. 연속해서 말씀들을 전해주실 하비 C. 브림(Harvey C. Bream)은 오하이오 주 신시내티에 위치한 포레스트 대일 그리스도의 교회(Forest Dale Church of Christ in Cincinnati Ohio)의 목사입니다. 그분은 신시내티 성경 대학의 학장과 동기관의 총장(chancellor)을 역임하셨습니다. 그는 이전에 300회 정도, 부흥회들, 주간 집회들, 산상집회들(camps) 및 그 같은 수백회의 집회들에서 설교하셨던 전반적으로 부흥전도자이셨습니다. 그리고 그분은 4명의 자녀를 둔 아버지입니다. 그의 가족은 근본적으로 설교자들의 집안입니다. 제가 기억하기로는 그의 아버지, 그의 형제, 세 명의 동서들, 두 명의 아들들, 한 명의 삼촌, 두 명의 조카들, 한 명의 사위가 설교자이고, 세 명의 손자들이 장래의 설교자들입니다. 그간 그를 우리 교회에 모실 기회가 없었는데, 우리는 이번에 하비 목사님을 모시고 말씀을 듣게 되어 기쁩니다. 그는 오하이오 주 신시내티에 소재한 ‘그리스도인환원협회’(the Christian Restoration Association in Cincinnati Ohio)를 위해 전 미주(美洲)들을 순회한 전도자로 섬겼고, 3개 교회들을 세우는 일을 도왔습니다. 그 가운데 한 곳이 포레스트 대일 그리스도의 교회인데, 1989년 신시내티 성경 대학의 총장직에서 은퇴하신 후 설교 목사로 복귀하셨습니다. 그리고 브림 형제님이 말씀을 전하기 위해서 나오실 때 우리 모두 기쁨으로 그분을 환영합시다. 그분이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치기 위해서 나오실 때 그분을 열렬히 맞이합시다.


환원운동사(RESTORATION HISTORY)

신약성경교회로의 환원(RESTORATION TO THE NEW TESTAMENT CHURCH)


제4부 환원운동(1793-1900)(출범과 성장) [THE RESTORATION MOVEMENT(1793-1900) (Beginnings and Growth)]: 하나의 새로운 시작(The Restoration Movement: A New Beginning). 

서론[INTRODUCTION]

그래서 우리는 이제 우리의 시리즈 강연에서 다음 주제의 시리즈에 다다랐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새로운 시작입니다. 그렇다면 그것에로 방향을 틀어봅시다. 그것은 새로운 시작 곧 신약성경의 이상을 따라 교회를 회복하기 위한 운동입니다. 우리는 이미 환원의 정의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우리는 빠르게 그것에 대해 복습하겠습니다.

I. 정의[I. Definition]

환원이란 이전 또는 정상상태로 되돌리는 것,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되돌리는 것, 원래의 형태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Ⅱ. 점진적이면서 거의 동시적인 운동[II. A gradual but almost simultaneous movement]

이제 여기에서 다시 여러분은 성령님이 역사하시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보십시오, 이 환원의 과정은 점진적이면서 거의 동시적인 운동이었기 때문입니다. 한 사람이 아니고, 한 곳이 아니라,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 서로 알지 못하는 많은 동시대인들 사이에서, 여러 곳들에서, 여러 교단들에서, 다양한 배경들에서 신약성경의 이상을 따라 교회를 회복하려는 이 운동이 일어났습니다.

I. 독립적인 운동들: 스코틀랜드 - 1778년; 웨일즈 - 1795년; 아일랜드 – 1807년[I. Independent movements: Scotland - 1778; Wales - 1795; Ireland – 1807.]

자, 유럽(옛 나라 때)에서 이미 몇몇 독립적인 운동들이 있었습니다. 이것은 1778년 스코틀랜드, 1795년 웨일스, 1807년 아일랜드에서 분명히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신대륙에 온 이른바 저 환원주의자들 또는 초기 개혁가들 중 일부는 유럽(옛 나라 때)에서 이들 운동들의 일부에 영향을 받고 있었습니다. 그것은 이 환원의 행로(트랙) 사이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토양은 신세계에서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하나님은 그것을 섭리적으로 준비하셨습니다. 신세계에는 군주제가 없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국교(국가종교)의 족쇄들이 풀려버렸습니다. 그래서 종교적으로 토양은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미국 헌법은 어떤 종교의 제도(制定, establishment)도 없어야 한다는 것과 동시에 종교의 자유가 보장될 것이라고 명시하였습니다. 경험 때문에, 하나님의 거절할 수 없는 은혜 교리 때문에, 경험이 이제 한때 믿음의 시금석이었던(as the test of once faith) 순종을 대신하게 되었기 때문에 이 신세계에서도 토양이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주관적인 믿음의 근거가 객관적인 믿음 곧 하나님의 말씀 안에서 발견된 믿음으로 대치되었습니다. 그리고 합리주의가 이 (신)세계에서 종교 분열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에 토양이 또한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그 시기가 적절하였습니다. 본래적인 신약성경 기독교를 회복하려는 운동을 위한 모든 것이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Ⅱ. 미국에서의 운동[II. American Movements:]

A. 제임스 오켈리, 라이스 해거드 – 감독 통치에 대한 반항[A. James O’Kelly, Rice Haggard - rebellion against Episcopal government.]

그러한 운동은 감리교인들 사이에서 이 노스캐롤라이나 주 아래 미국 땅에서 처음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임스 오켈리(James O'Kelly), 라이스 해거드(Rice Haggard) 등의 이름을 가진 위대한 감리교 설교자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애즈버리(Asbury) 감독의 독재적인 감독(감시)에 대해 반항하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감독(제도) 형태의 교회 통치에 대해 반항하고 있었습니다.

1. 공화 감리교인들 – 노스캐롤라이나 주 매나킨타운 - 1793년; 해체 – 1801[1. Republican Methodists - Manakin Town, N.C. - 1793; dissolved – 1801.]

2. 원칙들 - 신조나 징계는 성경만으로; 신약성경으로 충분[2. Principles - no creed or discipline but the Bible; the New Testament sufficient.]

3. 회중 통치 형태[3. Congregational form of government.]

4. 교회의 머리는 그리스도만으로[4. No head over the church but Christ.]

5. “이후로는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들이 단순히 그리스도인들로 알려지다.”[5.  “Henceforth the followers of Christ be known as Christians simply.”]

그래서 그들은 탈퇴하였고, 1793년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매나킨타운십에서 그들이 공화 감리교회(Republican Methodist church)라는 것을 설립하였습니다. 그것은 1801년까지 지속되었습니다. 갑자기 그들은 그들 자신이 분열문제를 전혀 해결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들은 단지 기존의 많은 교단들에 또 다른 교단을 하나 더하거나 합성하였을 뿐입니다. 그래서 1801년 그들은 그들 자신들을 해체하였고, 또 그들은 그들 자신들을 단순히 ‘그리스도인’으로 부를 것이라고 말하였습니다. 성경은 그들의 유일한 율법서일 것입니다. 그리고 그리스도는 교회의 유일한 머리일 것입니다. 그들은 통치 형태에 있어서 회중적일 것입니다.

B. 아브너 존스 - 침례교 - 버몬트 주(1800-1803)[B. Abner Jones - Baptist - Vermont (1800-1803).]

1. 이름은 ‘그리스도인’만으로, 법은 성경의 법만으로[1. Took no name but Christian and no law but that of the Bible.]

2. 엘리아스 스미스 - 침례교 – 뉴햄프셔 주[2. Elias Smith - Baptist - New Hampshire.]

그들과 동시에 똑 같은 일이 북쪽으로 뉴잉글랜드(신영국) 주들, 처음에는 버몬트 주와 뉴햄프셔 주에서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역동적인 두 명의 설교자들이 사역하고 있었습니다. 침례교 설교자들이었는데, 한 사람은 버몬트 주의 아브너 존스였고, 다른 한 사람은 뉴햄프셔 주의 엘리아스 스미스였습니다. 그리고 그들의 추종자들을 불러 모으고 있었던 이 설교자들은 그들의 인위적인 파당(派黨) 명칭을 제쳐두고 단순히 그들 자신들을 단지 ‘그리스도인들’로 기꺼이 부르기를 원하였습니다. 그리고 다시 성경을 유일한 율법서로 삼았습니다.

C. 발톤 스톤 - 장로교 – 켄터키(1801)[C. Barton Stone - Presbyterian - Kentucky (1801).]

1. 케인릿지 부흥회(1801년 8월)[1. Cane Ridge Revival (August, 1801).]

그들과 동시에 똑 같은 일이 남쪽으로 켄터키 주에서도 벌어지고 있었습니다. 독립적이고 동시대적이었지만 서로 알지 못했던 모든 이 다양한 운동을 보십시오. 성령은 여기 아래 켄터키 주에 있는 장로교인들 사이에서 당신의 말씀들을 통해서 놀랍게 역사하십니다. 같은 일이 계속되고 있었습니다.

이제 다니엘 분(Daniel Boone)은 켄터키 주의 이 지역 곧 오늘날 우리가 켄터키 주 파리(Paris)에서 가까운 버번 카운티(Bourbon county)에 들어왔습니다. 그리고 그는 14마일(22.5KM)의 능선을 찾았고 발견하였습니다. 그리고 그곳은 조릿대(갈대 비슷한 산죽, canebrakes) 숲으로 덮여 있었고 사냥감은 풍부하였습니다. 그래서 그는 돌아가서 서쪽으로 이주하는 모든 정착민들에게 켄터키 주의 그 지역으로 가라고 격려하였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바로 이 작은 장로교 집회소가 케인릿지 집회소(Cane Ridge Meeting House)에 세워졌던 것입니다. [역자 주: 케인릿지 집회소(Cane Ridge Meeting House)는 발톤 스톤(Barton W. Stone)이 1796년부터 1812년까지 시무했던 장로교 예배당이다. 이 건물은 1791년에 건축되었으며, 230년이 넘은 지금도 전혀 훼손되지 않은 채 잘 보존되고 있다. 1922년까지 예배당으로 사용되었다가 지금은 예식이나 특별집회 때만 사용되고 있다. 2층 발코니(예배에 참석한 흑인 노예들의 공간)를 가진 원룸 형식의 통나무집으로써 최대 200명이 앉을 수 있다한다. 그리스도인들뿐 아니라, 많은 건축학도들이 찾는 명소이다. 참고로 1800년대 미국의 변방 개척지들에 지어진 예배당들은 대개가 ‘meeting house’로 불렸다.] 그 교회의 설교자는 겨우 22세의 젊은이였습니다. 그는 막 결혼하였습니다. 그의 이름은 발톤 W. 스톤(Barton W. Stone)이었습니다. 동시에 초기 미국의 부흥회들은 우리의 변방개척지들을 휩쓸고 있었습니다. 각각의 부흥회는 천명, 이천 명, 오천 명으로 더 커져갔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켄터키 주 케인릿지에서 이러한 부흥회들 중 하나를 개최할 것이라고 발표되었습니다. 게다가 이 소식이 퍼져나갔습니다. 위로 미시시피 강만큼 먼 서쪽에서, 테네시 주에서, 캐럴라이나 주들에서, 버지니아 주에서, 펜실베이니아 주에서, 오하이오 주에서 사람들이 몰려오기 시작하였습니다. 역사가들은 수마일 및 모든 방향의 도로들이 도보로, 승마로, 경마차(buggy)와 짐마차(wagon)로 집회에 참석하러 오는 사람들로 꽉 막혔었다고 추정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대략 20,000명에서 30,000명 사이로 추정하였습니다. 초기 미국 부흥회들 가운데 가장 큰 집회가 여기 옛 케인릿지 집회소(Old Cane Ridge Meeting House) 앞 개활지에 친 캠프에서 개최되었습니다. 그들은 말하기를, “밤에는 조릿대들이 산불처럼 느껴졌고, 매우 많은 모닥불들이 불타고 있었다.”고 하였습니다.

음, 여기 계신 여러분 중에 켄터키 주 케인릿지에 가보신 적이 있으십니까? 오, 오, 좋습니다. 몇몇 분이 가보셨군요. 그 작은 통나무집 집회소가 아직 건재합니다. 지금은 그 건축물을 보호하려고 겉으로 세운 석조 건물 속에 들어있습니다. 그리고 흑인 노예들이 앉았던 발코니까지 밀착해 앉아도 최대 200명밖에 들어가지 못할 작은 통나무집 집회소에 20,000명 또는 30,000명이 들어가지 못할 것은 자명합니다.

그래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아십니까? 설교자들은 밖으로 나가 즉석 강단에 서기 시작하였습니다. 침례교 설교자들, 감리교 설교자들, 장로교 설교자들, 독립교회 설교자들, 그들은 나무 그루터기나 짐마차 바닥(beds)에 올라섰고, 수천 명의 군중이 이 설교자들 한 사람 한 사람 주위에 모였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교파와 특징과 신조들을 잊고 위대한 성경 중심적 교리를 전파하기 시작하였지만, 그 부흥의 핵심은 회개, 즉 회개로의 부름이었습니다. 오, 우리는 옛 '유황불 지옥 설교'라고 부를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모인 군중들에게 엄청난 영향을 미쳤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큰 해방감을 느끼면서 갑자기 웃기 시작하거나 거의 우스꽝스럽게(hysterically) 깡충깡충 뛰거나 춤을 추기 시작하였습니다. 또는 20,000에서 30,000명의 군중은 그들이 시작할 때 항상 많은 야유자들과 조롱자들을 얻게 될(발견할) 것이고, 최초로 말을 만들어낸 사람은 이것을 ‘웃는 행위’(laughing exercise)와 ‘춤추는 행위’(dancing exercise)라고 불렀습니다. 오, 어떤 사람들은 정반대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죄를 깨닫게 되면, 그들은 막 큰 소리로 울기 시작했을 것입니다. 그러자 그들은 그것을 ‘우는 행위’(crying exercise)라고 불렀습니다. 이러한 죄를 깨달음으로 어떤 사람들은 복음이 마음에 두들기는 충격으로 경련을 일으키기(몸을 비틀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러자 그들은 그 기회를 놓치지 않았고, 그것을 ‘비트는 행위’(jerking exercise)라고 불렀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죄를 깨달음으로 경련을 일으키고(몸을 비틀고) 있었던 이들 어떤 사람들은 너무 심하게 경련을 일으켜서(몸을 비틀어서) 그들이 ‘까루루’(킥킥 웃는) 소리를 내도록 내버려둘 정도였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그 기회를 놓치지 않았고, 그것을 ‘짖는(미친 듯한) 행위’(barking exercise)라고 불렀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비명을 지르며 땅에 쓰러진 채로 한 시간 동안 거의 숨을 쉬지 않은 채로 거기에 누워있게 내버려뒀을 것입니다. 그들은 그것을 ‘쓰러지는 행위’(falling exercise)라고 불렀습니다.

그러자 발톤 스톤(Barton Stone)은 이 모든 것을 의아해 하였고, 그것을 승인하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이후의 환원운동 부흥들의 전형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많은 사람들의 생활 방식이 극적으로 변화한 것이 이 사람들이 죄를 깨우침에 다다랐다는 증거라는 것을 인정해야 했습니다. 그 부흥은 단 7일 만에 끝났습니다. 여러분은 그 이유가 궁금하실 것입니다. 매우 실제적인 이유로 시골은 식량이 고갈되었습니다. 이 시골 농업 사회가 20,000에서 30,000명의 엄청난 인구를 부양할 수 있는 방법은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짐을 챙겨 집으로 돌아가야 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떠날 때 그들은 자신들이 받은 어마어마한 인상(감상)을 갖고 떠났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3년이 지난 후 ‘케인릿지 부흥’(Cane Ridge Revival)의 불은 다 타서 꺼져버렸습니다. 그것은 항상 주관적인 신앙(종교)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신앙(종교)은 오로지(배타적으로) 느낌과 감정에 직면합니다. 그것들을 지속시키려면 그것들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케인릿지 부흥의 불길은 다 타고 꺼져버렸습니다.

2. 스프링필드 장로회 조직[2. Formation of Springfield Presbytery.]

3. 당파심-해체-스프링필드 장로회의 유언서 작성에 기여[3. Contribution to party spirit-dissolved-Last Will and Testament of the Springfield Presbytery (1804).]

4. 단순히 그리스도인들이라 불림; 규정은 성경만으로; 그리스도인의 교회[4. Called simply Christians; Bible only rule; Christian church.]

발톤 스톤이 자신과 비슷한 확신을 가진 사람들 곧 그리스도교계의 분열을 개탄하는 사람들이 장로교 교단에서 탈퇴하여 그들이 스프링필드 장로회(Springfield Presbytery)라고 부른 것을 조직한 것은 1803년이었습니다. 그것은 통틀어 9개월간 지속되었습니다. 그것에 대한 이유는 그들이 창출한 실현된 이익이었습니다. 그들은 그 자체로 중요한 것 곧 당파심과 종파적 자부심을 두려워했습니다. 그리고 그런 다음 그들은 이 스프링필드 장로회를 설립함으로써 분열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고, 많은 기존의 분열에 또 다른 분열을 추가했을 뿐이었습니다. 그래서 1804년 9월에 발톤 스톤은 ‘스프링필드 장로회의 유언서’(The Last Will and Testament of the Springfield Presbytery)라고 불리는 것을 작성하고 해체하였습니다. [역자 주: ‘스프링필드 장로회의 유언서’가 작성되고 해체된 것은 1804년 6월 28일이었다. 이날 로버트 마샬(Robert Marshall), 요한 둔라비(John Dunlavy), 리차드 맥네마르(Richard M'Nemar), 발톤 스톤(B. W. Stone), 요한 톰프슨(John Thompson), 다윗 펄비안스(David Purviance)가 증인들(Witnesses)로 조인하였다. 이 점에 있어서 하비 브림 목사는 그들이 1803년 9월 6일 렉싱턴에서 개최된 장로교 켄터키 주 총회(Synod of Kentucky)로부터 징계를 받고 총회를 탈퇴한 날짜인 1803년 9월 10일과 혼돈한 것으로 보인다. 브림 목사가 스프링필드 장로회(Springfield Presbytery)가 통틀어 9개월간 지속되었다고 한 것은 장로교 총회에서 탈퇴한 1803년 9월로부터 스프링필드 장로회를 해체한 1804년 6월까지를 9개월로 본 것으로 추정된다. 번역본: http://kccs.pe.kr/rm03.htm] 그러나 “우리 자신이 무엇이라고 불릴 것인가?”라는 질문이 생겨났습니다. 그냥 하나님이 제정하신 이름(Divine name)과 성경이 말하는 이름(Bible name)을 취하여 자신들을 단순히 ‘그리스도인들’(Christians)이라고 부르는 것이 합의였습니다. 또 다른 질문, “우리의 교회들을 무엇이라고 부를 것인가?”라는 물음이 생겼습니다. " 다시 한 번 우리 자신을 단순히 ‘그리스도(인)의 교회들’(Christian Churches)이라고 부르는 데 동의하였습니다. “우리의 징치(懲治)에 대한 규칙서를 무엇으로 삼을 것인가?” 다시 한 번 성경만을 믿음과 실천에 대한 우리의 유일하고 전적으로 충분한 규칙(the Bible alone as our only and all sufficient rule for both faith and as well as practice)으로 삼자는데 합의하였습니다.

D. 토마스 켐벨 – 옛빛, 안티버거, 스코틀랜드 분리파 장로교회 – 1807년 미국으로 이주[D. Thomas Campbell - Old Light, Anti-burgher, Scotch-Seceder branch of the Presbyterian Church - came to America in 1807.]

1. 장로교 총회에서 탈퇴한 이유들[1. Reasons for withdrawal from Synod.]

음, 신세계의 해안에 상륙이 있었던 것은 그로부터 3년 후였습니다. 또 다른 한 장로교 설교자가 이제 주로 건강상의 이유들로 미국으로 건너왔습니다. 그의 이름은 토마스 캠벨(Thomas Campbell)이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가족들은 그가 미국에 정착할 때까지 고국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이제 여러분에게 그 당시 종교계가 어떻게 분열되어 있었는지 보여드리겠습니다. 토마스 캠벨은 옛빛, 안티버거, 스코틀랜드 분리파 장로교회(Old Light, Anti-burgher, Scotch-Seceder branch of the Presbyterian Church)에 소속된 목사였습니다. [역자 주: 환원운동가 토마스 켐벨은 아일랜드 출신의 옛빛, 안티버거, 스코틀랜드 분리파 장로교회에 소속된 목사였으나 분열이 하나님의 뜻에 반한다는 사실을 깊이 깨닫고 있었다. 스코틀랜드 장로교회의 창시자인 존 녹스(John Knox)는 스위스에서 장 칼뱅 밑에서 공부하였고, 1559년에 스코틀랜드로 돌아왔다. 이듬해인 1560년에 첫 장정(Book of Discipline)이 기록되었고,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와 스코틀랜드 교회(평신도 장로 대의제 교회)가 탄생되었다. 그리고 1712년에 분리파(Seceder)와 반분리파(Anti-Seceder)로 나눠졌다. 분리파 교회들에서는 목회자들을 교회가 직접 선택한 반면, 반분리파 교회들에서는 목회자들을 고교회 고문(High Church counsel)이 선택하였다. 그리고 1747년에는 추가 분열이 버거(Burgher) 운동으로 인해서 야기(惹起)되었다. 스코틀랜드 도시들의 행정장관들(burgesses) 곧 시장들이 (국가 혹은 도시 종교였으므로) 자기 도시의 종교를 분리파 교회로 정할지 혹은 반분리파 교회로 정할지를 맹세할 수 있는지 여부를 놓고 논란이 있었다. 1749년에는 The General Associate Synod (Burgher)와 the Associate Synod (Anti-Burgher)로 총회가 나눠졌다. 또 대 각성운동(Great Awakening)이후에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규정들을 식별하는 것과 관련해서 사람들이 성경으로부터 ‘새빛’(new light)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논쟁이 추가되었다, 그 결과 또 다시 하나님의 은총의 새로운 경륜을 믿고 대 각성운동에 합류했거나 그 운동으로 인해서 설립된 교회들인 새빛파와 기존 질서와 전통을 옹호했던 옛빛파로 나눠지게 되었다.] 그는 펜실베이니아 주 워싱턴 카운티에 있는 강단에(교회의 설교자로) 배속(配屬) 되었습니다. 자, 여러분은 펜실베이니아 턴파이크(Pennsylvania Turnpike) [역자 주: 펜실베이니아 턴파이크(Pennsylvania Turnpike)는 펜실베이니아 주를 동서(필라델피아에서 피츠버그)로 잇는 580KM에 달하는 유로고속도로의 명칭이다. 워싱턴 카운티는 피츠버그 남서쪽 아래 펜실베이니아 주 서쪽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으로 가까운 곳에 알렉산더 캠벨의 주거지이자 활동무대였던 베다니(Bethany, West Virginia)와 웰스버그(Wellsburg, West Virginia)가 위치해 있다.] 고속도로를 통해서 서쪽 끝자락 워싱턴 카운티를 여행해 보신 적이 있으십니까? 저는 몇 달 전에 거기(그 고속도로)를 지나가봤습니다. 그리고 그는 사역 초기임에도 불구하고 이웃 교회에 강사로 청빙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그날 그 특정 청중 속에는 토마스 캠벨과 의견을 달리하는 다수의 교인들이 참석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토마스 캠벨은 이것을 착수하여 그의 청중을 아연실색케 하였습니다. 왜냐하면 그가 주의 만찬 테이블의 성찬(빵과 포도주)을 진설케 하였고, 그런 다음 모든 참석자들에게 성찬을 받도록 초대하였기 때문입니다. 음, 그가 집으로 돌아가라는 말을 듣고, 워싱턴 카운티로 돌아왔을 때, 장로들이 그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그를 심의 장소에 불러 재판을 진행하였습니다. 결국 그들은 그를 파문하였습니다. 아, 여러분이 그런 방식으로 목회를 시작하신다면 어떻겠습니까? 오, 이유가 무엇이었을까요? 음, 여러분이 아시다시피, 그 당시 교단들의 관행은 ‘닫힌 성찬식’(Closed Communion)이라고 불리는 것이었습니다. 오직 그 특정 교회의 회원(등록교인)들만이 성찬식이 거행되는 주일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 성찬식이 거행되는 주일 전 몇 주 동안 그들이 성찬에 참여하기에 합당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장로들에 의해 가정에서 검사를 받은 경우에만 가능하였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검사에 합격하면, 여러분은 금속 토큰을 받을 것이고, 성찬식이 거행되는 주일에 여러분은 성찬을 받기 위해 여러분 자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이 성찬식에 참여할 합당한 사람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검사를 받았다는 증거(토큰)를 보여줄 수 있을 것입니다. [역자 주: 아래의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여 ‘성찬 토큰’과 알렉산더 켐벨에 관한 비디오(‘하나님과의 씨름’)를 감상할 수 있다. Fun Fact: Communion Tokens! | Presbyterian Historical Society (pcusa.org); http://kccs.info/AlexanderCampbell_WrestlingWithGod.mp4]

음, 토마스 캠벨은 북미주 장로교 총회(the synod of North America)에 이러한 지각(sense)을 호소하였습니다. 그들은 또 다른 재판을 열었고, 그들이 이번에는 그를 파문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그에게 “다시는 교단의 관습이나 전통이나 관습에 어긋나는 것을 가르치거나, 설교하거나, 행하지 마시오.”라고 경고하였습니다. 토마스 캠벨이 그 모임(심의회)을 떠날 때, 그는 교단에 남을 것이라고 진술하였습니다. 그는 말하기를, “이것이 분명히 이해되는 한, 나는 성경에서 배타적으로 가르친 것이나 사도적 선례가 보증된 것을 찾을 수 없는 것을 다시는 가르치지 않겠습니다.”고 하였습니다.

2. <선언과 제언> (1809)[2. Declaration and Address (1809).]

홀로 남겨지기도 전에 대중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이 명백했습니다. 그와 다른 많은 사람들의 유사한 확신(신념)은 비길 데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탈퇴하였고, 집에서 모이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캠벨은 그가 성명서를 작성할 수 없느냐는 질문을 받았습니다.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신자들의 일치에 관한 말씀들에서 일치의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는 모든 교회 역사들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문서들 중 하나를 작성하였습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그것을 읽어본 적이 없으시다면, 저의 친구 여러분, 여러분은 그것을 읽을 무언가 요약본(개요)을 확보하셔야 합니다. 두드러지게 날카롭고 예리한 문서는 <선언과 제언>(the Declaration and Address)이라고 불립니다. [<선언과 제언> 요약 번역본: http://kccs.pe.kr/rm04.htmhttp://kccs.info/rh13lessons_Teaching_Materials.pdf, 171-219쪽.이제 캠벨이 전한 이 <선언과 제언>에서 그는 무엇보다 먼저 분열이 하나님의 교회에 대한 하나님의 뜻에 반하는 죄라고 열렬히 비난하는 것으로 시작하였습니다. 그는 지상에 있는 그리스도의 교회가 의도적으로, 그것은 본질적으로, 그것은 구조적으로 하나라고 확언하였습니다. 모든 장소에 있는 모든 신자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회복된 하나 됨의 일치를 찾을 수 있다고 그가 단언한 균등하게 적은 13가지 명제들은 옛 사도전통의 질서의 회복(restoration of the ancient order of things)에 대한 열렬한 탄원으로 결론을 내리기까지 하였습니다. 그의 청중은 그리스도와 제자들의 옛 길을 다시 걷는 것과 그가 “성경이 말하는 곳에서 우리가 말하고, 성경이 침묵하는 곳에서 우리는 침묵한다.”고 말했을 때 그 진술이 있는 많은 성구들을 승인하였습니다. 그가 한 그 말들과 죽음과 같은 고요함이 그 청중을 감쌌는데, 한 남성이 말을 하려고 일어설 때까지 계속되었습니다. 그는 말하였습니다. “그러면, 캠벨 씨, 만약 우리가 그것을 기초로 삼으면 유아세례는 종식(終熄)됩니다.” 캠벨은 일어나 청중을 보고 섰습니다. 그리고 그는 아직 그 특정한 주제에 대해 어떤 결론에 도달할 만큼 그 자신이 충분히 성경을 연구하지 않았지만, 그는 그가 말한 진리가 옳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물론입니다. 만약 우리가 성경에서 유아 세례를 찾을 수 없다면, 그러면 우리는 그것과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고 단언하였습니다. 토마스 애치슨(Thomas Acheson)이라는 이름의 사람을 향한 말들이 대화를 이어가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너무 감정에 복받쳐서 눈물을 터트리며 극적으로 외쳤습니다. “’어린 아이들을 용납하고 내게 오는 것을 금하지 말라. 천국이 이런 사람의 것이니라.‘고 성경에서 말하는 복된 것을 내 마음이 포기해야하는 것을 하나님께서 원치 아니하십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의 과도한 감정표현에 너무 당황해서 그 방을 나가려고 돌아섰습니다. 그러나 그가 나가기 전에 또 다른 남자가 벌떡 일어나 말하였습니다. “잠깐만요, 애치슨 씨. 당신이 방금 인용한 성경말씀에는 침례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습니다.”고 그는 말하였습니다. 그리고 어떤 공식적인 조치들도 그 회의에서 취해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역사가들은 되짚어보았고, 이것을 환원운동으로 불리는 만남의 시작이라고 불렀습니다.

3. 워싱턴 카운티 그리스도인의 협의회 결성[3. Formation of Christian Assembly of Washington.]

아, 그 모임 직후에 그들은 자신들이 “워싱턴 카운티 그리스도인의 협의회”(Christian Association of Washington) [역자 주: 하비 브림 목사는 여기서 결성된 협의회를 일컬어 “Christian Assembly of Washington.”라고 하였는데, 정확한 명칭은 “Christian Association of Washington”이었다.]라고 부른 것을 결성하였습니다. 그들은 제도적 교회가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리고 그날은 그 회복된 교회 곧 신약성경교회와 그 속에 있는 이상(ideal)을 찾는 회복(환원)이 시작된 날이었습니다.

E. 알렉산더 캠벨(아들) - 1809년 아버지의 견해에 동의하다.[E. Alexander Campbell (son) - 1809 concurs in views of father.]

이제 이 일이 있고나서 얼마 지나지 않아 나머지 캠벨 가족은 이제 신세계의 해안에 상륙하였습니다. 전통에 따르면 아버지와 아들은 필라델피아와 뉴욕 사이의 그 길 어딘가에서 만났다고 합니다. 그리고 아버지는 외투 주머니에 손을 넣어 그가 인쇄소에서 막 찾아가지고 온 <선언과 제언>의 교정쇄를 꺼내 그것을 아들에게 건네며 그의 반응이 어떨지를 지켜봤다고 합니다. 그리고 여기서 다시 여러분은 성령님께서 역사하시는 것을 봅니다. 바다(북대서양)를 사이에 두고 수천 마일이나 떨어져 있었고 시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고국(아일랜드)의 아들은 독립적으로 성경을 공부했고, 기본적으로 이곳 펜실베이니아 주에 있었던 그의 아버지와 장로 교인들이었던 자들이 가졌고, 아래 켄터키 주에 있었던 발톤 스톤과 장로 교인들이었던 자들이 가졌으며, 저 멀리 뉴잉글랜드에 있었던 존스(Jones)와 스미스(Smith)와 침례 교인들이었던 자들이 가졌고, 노스캐롤라이나 주에 있었던 오켈리(O’Kelly)와 해거드(Haggard)와 감리 교인들이었던 자들이 가졌던 동일한 결론에 도달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가 읽고 있는 것에 너무 감명을 받아서 그는 그의 말을 멈춰 세우고 자신의 여생에 대한 결심을 발표하였습니다. 그는 하나님의 백성의 단일성의 일치(the unity of oneness)를 위한 이 호소의 이러한 원칙들을 옹호하는 일에 헌신할 작정이라고 하였습니다.

1. 브러시런 교회 조직 – 1811년[1. Brush Run Church organized – 1811.]

곧이어 이 독실한 아버지가 배경 속으로 사라져 버린 것이 분명해졌습니다. 그리고 이 똑똑한 아들, 이 명민한 성경학자, 이 위대한 작가이자 강력한 토론가가 전면으로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들은 1811년에 자신들이 브러시 런 교회(Brush Run Church)라고 부른 것을 설립하였습니다.[역자 주: 최초의 그리스도의 교회인 브러시 런 교회(Brush Run Church)가 알렉산더 캠벨에 의해서 1811년 5월 4일 베다니(Bethany, West Virginia)로부터 약 8KM 가량 떨어진 곳에 세워졌다. 현재는 Brush Run Meeting House가 있던 자리에 돌비석만이 남아 있다.]

2. 약식세례 문제를 연구함 – 1812년[2. Question of sprinkling studied – 1812.]

그러나 약식세례에 관한 이 이슈가 마침내 해결된 것은 1811년이나 1812년이 된 다음이었습니다. 알렉산더 캠벨의 첫 아기의 출생이 그 계기(繼起)였습니다. 그가 무엇을 하려고 했을까요? 그가 이 아기에게 약식세례를 베풀려고 했을까요? 그래서 그는 성경을 꺼내서 원어로 연구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주제에 대한 연구의 결론으로써 그는 신약성경이 자신의 아기가 침례에 적합한 후보자가 아니라고 가르칠 뿐만 아니라, 성경 연구 또한 그 자신도 침례를 받아야 한다는 사실에 대한 결론으로 자신을 이끌었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그것(약식세례)을 전혀 고집하지 않았던 독실한 아버지 토마스와 이 문제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그는 마침내 자신에게 기꺼이 침례를 베풀어주려는 침례교 설교자를 찾았습니다. 그리고 그의 아버지는 강둑에서 지켜보았고, 알렉산더가 침례 받는 것을 끝냈을 때, 그런 다음 아버지가 그리스도에로 침례받기 위해서 자기 자신을 내맡겼습니다.

3. 그들은 성경에서 배운 것만 가르치고 설교할 것을 이해함으로 1813년 레드스톤 침례교 협의회에 가입[3. Joining Redstone Baptist Association - 1813 - with understanding they would teach and preach only what they learned from scripture.]

침례교 교인들은 환호하였습니다. 캠벨 부자(父子)는 매우 존경을 받았고, 그들의 성경에 대한 학식은 널리 알려져 있었습니다. 그리고 <선언과 제언>(the Declaration and Address)이 출판되어 널리 회람되고 널리 읽혔습니다. 그래서 침례교 교인들은 캠벨 부자에게 와서 말했습니다. “이제 또 당신들이 성경을 연구하여 도달한 결론들처럼 또 <선언과 제언>에서 진술한 것처럼 일관성이 있으려면 당신들은 침례교 교인들과 합류해야 합니다.” 캠벨 부자는 “아닙니다. 아니에요. 우리는 않습니다.”고 말하였습니다. 침례교 교인들은 “오 예, 당신들은 하실 것입니다.”라고 말하였습니다. 캠벨 부자는 “아니요, 우리는 하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말하였습니다. 침례교 교인들은 “오 예, 당신들은 하실 것입니다.”라고 말하였습니다. 그리고 캠벨 부자는 합류하였습니다. 1813년에 그들은 가입하였습니다. 여기 브러시 런 교회(Brush Run Church)는 레드스톤 침례교 협의회(Redstone Baptist Association)에 가입하였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성경에서 배운 것만 가르치고 설교할 것이라는 이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4. ‘율법에 관한 설교’는 침례교 협의회와 불화를 야기함[4. Sermon on the Law results in breach with Baptist Association.]

이 관계가 매우 미약한 관계였음이 곧 명백해졌습니다. 그리고 긴장은 점점 더 분명해져서 마침내 알렉산더 캠벨이 1816년 레드스톤 침례교 협의회 모임에 주요 연사로 초대되기에 이르렀습니다. 그것은 그의 유명한 ‘율법에 관한 설교’(Sermon on the Law)였습니다. [역자 주: 이 유명한 설교는 1816년 9월 1일 캠벨이 27세 때에 베다니에서 멀지 아니한 크로스 크릭(Cross Creek)에서 모인 레드스톤 침례교 협의회에서 행한 것이다. 후에 캠벨은 자신을 “지금의 개혁운동”에 뛰어들도록 힘을 실어준 것은 이 설교에 관해서 일어난 논쟁이었다고 말했다. 캠벨은 후에 이 설교를 팸플릿으로 출판하였고, 또 1846년 9월판 밀렌니얼 하빈저에도 실었다. 이 설교의 요약본이 <알렉산더 캠벨 독본>(조동호 번역) 39-46쪽에 실려 있다. http://kccs.info/acreader.pdf]  그리고 이 설교는 분수령이었습니다. 여러분이 아시다시피 이 시기 이전에는 거의 모든 종교계가, 그들이 호칭한 것처럼, 성경을 하나의 ‘수준기(水準器/水平器) 서(書)’(a level book)로 간주하였습니다. 다시 말해서, 그들은 구약성경이 신약성경과 동등하게 권위가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놀라운 ‘율법에 관한 설교’에서 알렉산더는 두 언약들 사이에 차이 즉 구약과 신약 사이에 차이가 있다고 지적하였습니다. 그는 이러한 계약들(covenants)이나 언약들(testaments) 개개아래 다른 요구 사항들이 있음을 지적하였습니다. 그는 율법과 복음사이의 차이, 행위와 은혜 사이의 차이를 강하게 지적하였습니다.

5. 브러시 런 교회는 동부 오하이오 주에 소재한 마호닝 침례교 협의회 (서부 보호구역 - 1823)에 가입. 해산 – 1830[5. Brush Run Church joins Mahoning Baptist Association of Eastern Ohio (the Western Reserve - 1823); disbanded – 1830.]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 모임에서 캠벨 부자와 많은 다른 사람들이 레드스톤 침례교 협의회에서 그 때 탈퇴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런 다음 그들은 동부 오하이오 주에 소재한 마호닝 침례교 협회(Mahoning Baptist Association) [역자 주: 마호닝 침례교 협의회는 1820년에 설립되었다. 침례교의 필라델피아 신앙고백서가 그 협의회의 법으로 간주되기는 하였지만, 그 협의회는 종교개혁의 이념들로 충만하였고, 공개토론과 교리적 다양성이 모두 수용되었다. 캠벨 부자는 브러시 런 교회와 레드스톤 침례교 협의회를 떠난 후 웰스버그(Wellsburg, West Virginia)에 교회를 세웠고, 1823년에 마호닝 침례교 협의회에 가입하였으며, 정기간행물 <그리스도인 침례자>(Christian Baptist)를 창간하였다. 그 협의회는 1830년에 해산되었다. 그리고 동년에 ‘그리스도의 제자들’(Disciples of Christ) 곧 그리스도의 교회들이 출범하였다. 또 동년에 알렉산더 캠벨은 <그리스도인 침례자>를 폐간하고, 정기간행물 <새천년시대의 선구자>(Millennial Harbinger)를 창간하였다.]에 가입하였습니다. 그 당시에는 오하이오 주의 그 지역이 서부 보호구역(the Western Reserve)으로 불렸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위쪽 영스타운(Youngstown), 캔톤(Canton), 바버턴(Baberton), 아크론(Akron)으로 해서, 몇몇 오하이오 주 주민(Buckeyes) 여러분, 그 지역 위쪽으로부터 서부 보호구역과 그 지역을 주행(走行)해야 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그 때 그들이 신약성경(교회)을 시작하고 성경이 교회에 대해 말한 결론에 도달하면서 확장되었을 뿐입니다. 마호닝 침례교 협의회는 1830년대에 막 확장되었습니다. [역자 주: 1820년대를 1830년대로 잘못 말한 것으로 추정된다.] 많은 비슷한 협의회들이 단순한 신약성경의 근거를 채택하기 시작하면서 점차적으로 확장되기 시작하였습니다.

F. 월터 스코트 – 장로교 - 1822년에 캠벨과 만남[F. Walter Scott - Presbyterian - met Campbell in 1822.]

1. 전도의 요지를 개발함[1. Struck the keynote of evangelism.]

2. ‘다섯 손가락 실행’을 고안함[2. Originated the “finger exercise.”]

3. 복음을 약술함(하나님 편에서 지적인 부름(호소), 인간 편에서 지적인 응답(반응)[3. Outlined the gospel (intelligent appeal on God’s part, intelligent response on man’s part).]

그러나 이 운동의 부흥사(횃불)는 월터 스코트(Walter Scott)라는 이름의 또 다른 젊은 장로교 교인이었습니다. 단지 젊은이로서 1822년 그는 캠벨을 처음 만났고, 캠벨 부자의 저술들과 본래적이고 원시적인 신약성경 그리스도교의 회복(환원)이라는 이들 원리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온 마음으로 그것들을 기꺼이 수용하였습니다. 그리고 월터 스코트가 말을 타고 마을로 들어가곤 하였는데, 학교가 막 파하려할 그 시각에 자신의 도착을 의도적으로 맞추곤 하였습니다. 그는 자신의 말 주변으로 모든 아이들을 모이게 하곤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런 다음 그는 그들을 거기에 붙들어 두었습니다. 오늘 밤 여기 계신 여러분들의 많은 수가 우리가 옛 다섯 손가락 실행(old five finger exercise)이라고 부르는 것을 외우셨지만, 그것이 어디서 유래했는지를 모르셨습니다. 자, 여기에 우리는 다섯 손가락 실행을 갖고 있습니다. 그는 말하기를 “좋아요, 학생들(youngsters), 여러분의 엄지손가락으로 시작하세요.” 이제 이것에 대한 다양한 버전이 있습니다. 그것들은 모두 동일하게 끝납니다. 하지만 제가 좋아하는 버전은 제가 많이 들어본 것입니다. 그는 말했습니다. “좋아요, 여러분의 엄지손가락으로 시작하세요. ‘여기’라고 말하세요.” 그들은 모두 “여기”라고 말합니다. “좋아요, 이제 ‘믿음’이라고 말하세요.” 그들은 모두 “믿음”이라고 말합니다. “좋아요, 이제 아니면 우리는 여기에서 ‘회개’에 이릅니다.” 그들은 모두 “회개”라고 말합니다. “이제는 침례”, “침례”, “마지막으로 ‘죄 사함과 성령의 선물’.” “죄 사함과 성령의 선물”. “좋아요, 자 학생여러분, 갑니다. 더 빨리 큰 소리로 한목소리로 외칠 준비가 됐지요?” “여기”, “믿음”, “회개”, “침례”, “죄 사함과 성령의 선물”. “이제 학생여러분은 집에 가서 부모님들에게 전하세요. 오늘 밤 바로 여기 학교건물에 설교자가 계실 것이고, 여러분의 왼손 바로 거기에 여러분이 쥐고 있는 그분의 설교개요를 그분이 설교하실 것이라고 말씀드리세요.” 그리고 그날 밤 모든 시골은 그리스도를 위한 이 젊은 부흥사(횃불)가 그의 단순하고 논리적이며 성경적인 방식으로 그들이 전에 들어본 적이 없는 복음을 전파한 것을 듣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메시지는 우리의 변경지방들을 휩쓸기 시작하였습니다. 위대한 성경 설교들이 끝날 때면 드물지 않게 교회가 그곳 예배당 앞에 안내문(a letter)을 붙여놓고 그들의 인위적인 교파 명칭(간판)을 떼어내곤 했으며, 스스로를 단순히 비교파적, 비분파적 ‘그리스도의 교회’(Church of Christ) 또는 ‘그리스도인의 교회’(Christian Church)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이 명확한 성경 설교 후 축도가 끝나면 많은 교인들이 가까운 시냇가로 따라 내려가 그리스도에로 침례를 받곤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운동은 우리의 변경지방들을 가로질러 빠르게 확산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스콧(Scott)이 특징을 분류한 복음의 하나로써 그가 말한 것은 이렇습니다. 복음은 믿어야할 사실들(the Gospel consists of the FACTS to be believed. 예: 예수님은 하나님의 아들이십니다.); 순종해야할 명령(COMMANDS to be obeyed. 예: 회개하고 침례를 받으십시오. 예수께서 명하신 모든 것을 지키십시오.); 즐길 수 있는 약속(PROMISES to be enjoyed. 예: 당신은 구원을 받을 것입니다.) 및 주의를 기울여야할 경고(WARNINGS to be heeded.)로 구성됩니다. 그는 복음이 하나님 편에서는 지적인 부름(호소)이고, 인간 편에서는 지적인 응답(반응)이라고 말하였습니다. 그것은 흥미를 끄는 것이었습니다. 믿음과 실천을 위한 유일한 규범으로 오직 성경으로 돌아가는 것은 오늘날의 주관주의와 신조들로 인한 혼란에 대한 해답이었습니다.

G. 성장:[G. Growth:]

1. 1832년 켄터키 주 렉싱턴에서 스톤 운동과 캠벨 운동이 통합하다.[1. Stone and Campbell movements merge in Lexington, Kentucky – 1832.]

스톤 운동과 캠벨 운동은 1832년에 켄터키 주 렉싱턴에서 마침내 통합하였습니다. 유명하고 강력한 켄터키 주 설교자요, 캠벨 운동을 대표한 라쿤 존 스미스(“Raccoon” John Smith)라는 이름의 장로(목사)와 발톤 스톤이 자신의 운동을 대변하였습니다. 그 때 라쿤 존 스미스 장로는 자신의 생애에서 가장 주목할 만하고 힘 있는 설교 중 하나를 했다고 합니다. 거기에서 그렇게 발톤 스톤이 말할 차례가 되었을 때, 그는 스미스 장로가 말한 모든 것에 전적으로 동의하면서 단지 몇 가지 논평만 하였고, 자신의 손을 내밀었으며(악수를 청하였으며) 그리고 두 운동이 통합하였습니다. [역자 주: 1831년 12월 31일 켄터키 주 렉싱턴(Lexington)에서 스톤의 ‘그리스도인들’(Christians)과 캠벨의 ‘개혁가들’(Reformers 혹은 Disciples)이 연합회동을 하였다. 거기서 캠벨의 ‘제자들’ 운동을 대표한 라쿤 존 스미스(“Raccoon” John Smith, 1784-1868)는 ‘그리스도인들’ 운동의 발톤 스톤과 ‘친교의 오른손’(Right Hand of Fellowship)을 뻗었다(악수하였다). 그리고 그 이튿날인 1832년 1월 1일 통합하였다. 곧바로 스미스는 스톤의 ‘그리스도인들’ 운동을 대표한 존 로저스(John Rogers, 1800-1867)와 함께 말을 타고 전역을 순회하며 스톤/캠벨운동의 통합을 전하였다. 켄터키 주에서만 통합에 참여한 그리스도인들이 10,000명을 넘었다. 훗날 존 로저스는 <발톤 스톤의 생애>(전기)를 저술하였다.]

2. 미국 그리스도인 선교회 결성 – 1849년.[2. Formation of the American Christian Missionary Society – 1849.]

그래서 그런 다음 나중에 이 호소를 실행하기 위한 노력으로 미국 그리스도인 선교회(American Christian Missionary Society)가 조직되었고, 이제 신약성경 그리스도교의 회복(환원)을 위한 호소의 영역들이 입증되었습니다. 처음에 알렉산더 캠벨(Alexander Campbell)은 지역 교회이외의 그 어떤 종류의 협회(society) 결성도 반대하였습니다. 그런 다음 1849년 오하이오 주 신시내티에서 모임이 개최되었습니다. 캠벨 자신은 발병으로 인해서 그 모임에 참석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미국 그리스도인 선교회를 설립한 그 단체에 의해서 선출이 되었습니다. 그는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었습니다. 그리고 당연히 그는 그 영예를 받아드렸고, 미국 그리스도인 선교회의 초대 회장이 되었습니다.

3. 잇따른 편의기구들의 결성 - 지원 또는 비지원을 조건으로 하지 않는 친교[3. Formation of subsequent expediences - fellowship not contingent upon support or non-support.]

4. 협회들과 악기로 인한 불화 점증 - 1850년[4. Growing discord over societies and musical instrument – 1850.]

잇따른 편의기구들, 다른 선교회들 및 단체들의 결성이 있었고, 친교는 이들 중 어느 것도 지원 또는 비지원을 조건으로 결코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모든 회중(교회)은 이들 중 어느 것도 지지하거나 지지하지 않을 자유가 있었습니다. 그것들은 의견의 문제였습니다. 그것들은 단순히 하나님의 일을 성취하는 방법들에 불과했지만, 그것들은 1850년에 소문이 만들어지고 점증한 협회들의 용도들과 악기의 특별한 사용에 대한 불화와 불만과 논쟁이 커지기 시작하였습니다. [역자 주: 예배 시에 악기사용에 관한 논쟁은 1850년대에 오르간(풍금)이 만들어져 판매되면서부터였다. 예배 시에 악기를 쓰는 전통은 서방(가톨릭)교회 전통이라고 볼 수 있다. 동방교회와 일부 개신교, 유대교 정통파에서는 지금도 예배 시에 악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동방교회의 경우 희랍정교회와 러시아 정교회 모두에서 예배 시에 악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미국과 캐나다에 산재한 북미주 개혁주의 장로교 교단과 스코틀랜드의 일부 개혁(장로)교회들, 특히 장 칼뱅과 존 녹스 전통의 <웨스트민스터 예배 모범서>에 의하면, 예배용 찬송으로 시편에 고유한 운율을 사용하여 불렀고, 악기의 사용은 금하고 있다. 개신교단들에서 악기를 쓰도록 허용한 것은 1850년대 논쟁 이후였다. 유대교는 성전파괴이전과 이후로 나눌 수 있는데, 성전파괴이전에는 시편에 나타난 대로 예배 시 악기사용이 허용되었으나 성전파괴이후 회당예배의 발전과 더불어 악기사용이 금지되었다. 오늘날에는 진보적인 유대교 교파들에서만 예배 시에 악기를 사용하고 정통파에서는 아직도 예배 시에 악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악기사용이 안식일을 범하는 일이 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악기의 음을 맞춘다든지 하는 것은 안식일 법에서 금하는 창조행위에 해당된다고 본다. 그리스도의 교회들 가운데도 무악기 교회들이 있다. 보수성향이 강한 미국 남부지역들, 특히 텍사스 주와 테네시 주 등에 1만개 이상의 크고 작은 무악기 그리스도의 교회들(Churches of Christ)이 산재해 있다.]

5. 20세기로 접어들면서 오순절(AD 30) 이후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신앙(종교)운동[5. At turn of 20th century the fastest growing religious movement since Pentecost.]

그러나 여전히 그래도 여전히 금세기의 전환기에서, 친구 여러분. 불과 짧은 89년 전만 해도, [역자 주: 이 강연이 1989년에 있었기 때문에 AD 1900년, 즉 19세기에서 20세기로의 전환을 말한다.] 이 운동은 북미 대륙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신앙(종교) 운동이었습니다. 문자적으로 미국의 인구 증가 속도보다 두 배나 빠르게 성장하고 있었습니다. 89년 전 금세기의 전환기에 우리는 일 년에 일천 개씩 확장된 신약성경 그리스도교를 떠받치는 설립된 하나의 올바른 것(a thing) 혹은 하나의 교회(a church)였습니다. 그것은 일주일에 평균 거의 20개씩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이중 비전(Double Vision)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고, 2000년까지 5,000개의 교회들을 개척하려고 합니다. 들어 보십시오. 89년 전에는 그곳들이 그늘진 땅이었습니다. [역자 주: 참조: 마태복음 4장 16절.] 그 이전의 모든 것을 휩쓸고 있었습니다.

6. 호소는 명백해짐[6. The Plea made clear.]

그리고 왜 그렇습니까? 호소가 명백해졌습니다. 우리는 기존의 많은 교단들에 추가하려고 또 다른 하나의 교단을 조직하려고 힘쓰고 있지 않습니다. 반면에 수원(水源)에로, 신약성경에로, 그리고 유일한 신조로써 그리스도와 함께 믿음과 실천을 위한 유일하고 더없이 충분한 규범인 성경에로 돌아가려고 힘쓰고 있습니다. 또 신성한(하나님이 제정하신) 이름으로써 ‘그리스도인’(Christian)이라는 용어의 사용과 유일한 메시지로써 복음과 그리고 그 일치의 수단을 가진 목표로써의 일치와 교리와 의식들(ordinances: 침례와 주의 만찬)과 생명의 열매에 있어서 신약성경의 이상(ideal)을 따르는 교회의 회복(환원)에 힘쓰고 있습니다. 그것이 호소(the plea)였고, 매력(attractive)이었으며, 끌림(magnetic)이었습니다.

7. 현재 성장률로 20세기 중반까지 미국에서 이 운동의 지지자가 4천만 명에서 6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됨[7. Estimated that at present rate of growth, by mid-20th century, there would be 40-60 million adherents in this movement in America.]

금세기의 전환기에서 20세기 중반까지, 순전한 등비수열에 의하면(기하급수적으로), 그 당시의 현성장률로 볼 때, 20세기 중반까지 이 운동에 대한 이 호소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4천만에서 6천만 사이였을 것으로 추산되었습니다. 분명히 무언가가 도달하기를 원합니다. 우리는 내일 밤 그것에 더 충분히 도달하게 될 것입니다(그것을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결론[CONCLUSION]

I. 성경뿐, 더하기 무(無), 빼기 무(無) = 그리스도인들뿐. 성경뿐이 그리스도인들뿐을 만듦. 사람이 단순히 그리스도인 그 이상이 되려면 성경 그 이상의 것을 취해야 함[I. The Bible only + nothing - nothing = Christians only. The Bible only makes Christians only. One has to take more than the Bible to be more than simply a Christian.]

A. 실례[A. Illustration]

1. 성경 + 로마가톨릭교회 교리와 전통 = 로마가톨릭교회[1. Bible + Roman Catholic dogma and Tradition = Roman Catholic.]

2. 성경 + 감리교회 장정 = 감리교회[2. Bible + Methodist Book of Discipline = Methodist.]

3. 성경 + 과학건강서 = 크리스천사이언스[3. Bible + Book of Science and Health = Christian Scientist.] [역자 주: 메리 베이커 에디(Mary Baker Eddy, 1821-1910일)가 예수님의 병고침 기사들을 읽은 후, 이전에 얻었던 사고후유증에서 완쾌되었는데, 이 경험을 바탕으로 1875년에 <과학과 건강>(Science and Health with Key to the scriptures)이란 책을 썼으며, 1879년에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에 ‘크리스천 사이언스’ 교회를 세웠다.]

4. 성경 + 모르몬경 = 모르몬교회[4. Bible + Book of Mormon = Mormon.]

5. 성경 +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서 = 장로교회[5. Bible +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 Presbyterian.]

6. 성경 + 아우크스부르크신앙고백서 = 루터교회[6. Bible + Augsburg Confession of Faith = Lutheran.]

7. 성경 + 필라델피아신앙고백서 = 침례교회[7. Bible + Philadelphia Confession of Faith = Baptist; etc., etc.]

8. 성경뿐 +0, –0, /0 = 그리스도인뿐[8. Bible only +0, -0, /0 = Christian only.]

환원 호소들을 그토록 매력적으로 만든 것이 여기에 있습니다. 이것으로 잘 예증(例證)된 대로 그것은 성경에 대한 논리적이고 그것의 합당함이며 강한 매력(appeal)이었습니다. 만일 여러분이 성경을 취하여 그것에 로마가톨릭교회 교리와 전통을 더하시면. 그것은 감리교회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로마가톨릭교회를 만들 것입니다. 만일 여러분이 성경과 함께 감리교회 장정을 취하시면, 그것은 로마가톨릭교회 신자가 아니라 감리교회 신자를 만들 것입니다. 만일 여러분이 성경과 과학건강서를 취하시면, 그것은 침례교회 교인이 아니라 크리스천사이언스교회 교인을 만들 것입니다. 만일 여러분이 성경과 모르몬경을 취하시면, 그것은 여호와의 증인이 아니라 모르몬 교인을 만들 것입니다. 만일 여러분이 성경과 웨스트민스터신앙고백서를 취하시면, 그것은 장로교회 교인을 만듭니다. 만일 여러분이 성경과 아우크스부르크신앙고백서를 취하시면, 그것은 루터교회 교인을 만듭니다. 만일 여러분이 성경과 필라델피아신앙고백서를 취하시면, 그것은 침례교회 교인을 만듭니다. 그러나 여러분이 성경을 취하시고 그것에 아무것도 더하지 않고, 아무 것도 빼지 않으며. 그것을 아무것으로도 나누지 않으신다면, 그것은 단지 그리스도인들만을 만듭니다. 성경뿐(단지 성경만)이 그리스도인들뿐(단지 그리스도인들만)을 만듭니다. 여러분이 단순히 그리스도인 그 이상이 되려고 하면 성경 그 이상의 것을 취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그것은 그것을 가까이하고, 성장하며 모든 것에 앞서 취하라는 호소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가 성경을 제시할 때 이타적으로, 다툼으로 하지 않고, 비판하지 않으며, 논쟁으로 하지 않고, 사랑으로 설득력 있게 나눌 것이라는 동일한 호소입니다. 사람들은 점점 더 매력과 끌림을 찾고 있고 얻고 있으며 그것을 포용하게 될 것입니다.

Ⅱ. 신약성경의 이상을 따라 교회를 회복(환원)하려는 운동이 시대의 호소임[II. The movement to restore the church after the New Testament ideal is the plea of the hour.]

신약성경의 이상을 따라 교회를 회복(환원)하려는 운동이 시대의 호소입니다. 그것은 합리적이고 실용적이며 성경적입니다. 또 그것은 보편적으로 옳다고 인정됩니다. 성경적 기초에 근거한 일치는 요한복음 17장 17-21절에 따라 죽음을 앞두신(in the shadow of Calvary) 우리 주님의 기도였습니다. 이 호소는 쓸모없게(outgrown) 되지 않았습니다. 그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오늘날 더 커졌습니다. 설교되고 실천(구현)되어야 합니다. 세상은 공통의 만남의 장, 하나의 보편적인 신조 - 그리스도, 믿음과 실천을 위한 무류(無謬)한 규칙(규범) - 성경, 보편적으로 수용된 이름 - 그리스도인(Christian)을 주창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한 가지 목표 곧 복음 선포와 그에 따른 모든 신자들의 하나됨을 통해서 모든 잃어버린 영혼들의 구원의 성취를 가능하게 합니다. [신약성경의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은 하나의 대회(convention), 대학, 선교회, 출판사 등에서의 친교에 달려 있지 않습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이 강령은 분열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그것은 하나가 되게 하고 있습니다. 그것을 온 세상에 사랑으로 전파하고(막 16:15,16), 물러서서 하나님이 그분의 성령을 통해서 그분의 말씀(성경) 속에서 남자들과 여자들과 젊은이들의 마음속에서 지금 행하실 수 있는 것에 경탄합시다.

그것으로 우리는 오늘 밤을 마치겠습니다. 내일 밤 우리는 모든 교회 역사에서 가장 암울한 장들(chapters) 중 하나이자 두 번째로 큰 배도인 20세기 배도에로 들어갈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문서로 증명할 것입니다. 음, 저는 여러분이 내일 밤에 돌아오시길(참석해주시길) 바랍니다. 오, 우리는 그것을 하나의 슬픈 비망록(a sad note)으로 끝내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다시 재기(부활), 재기에 대해서,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면서 우리는 그것을 하나의 긍정적인 비망록(a positive note)으로 마무리할 것입니다.

기도하겠습니다.

아버지, 우리는 신실한 사람들로 인해 당신을 찬양합니다. 그들은 그들이 배워왔고 당신의 말씀에서 읽어온 것들을 간직하고 있었고, 그것을 전해서 심지어 오늘날 우리까지도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에 이르는 구원의 은혜의 전율과 기쁨을 알게 하려고 하였습니다. 우리는 정말 감사합니다, 아버지, 그때 우리는 우리의 행위로 구원받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정말 감사합니다, 아버지, 당신께서는 죄 사함을 위한 당신의 은혜로운 조건들을 너무나 명확하고 단순하게 만드셔서 어린아이조차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셨습니다.

우리는 당신께 감사합니다, 아버지. 그 이유는 오늘날의 진실한 사람들의 많은 정직한 마음들이 일치 안에서 신약성경교회의 능력 안에서 하나됨을 갈망하여 진리를 찾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이교도 제국을 앞뒤좌우로 흔들 수 있고, 취하여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주님, 우리는 복음이 오늘날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고, 가정을 재정비하며, 절망 속에서 희망을 주시고, 비통과 슬픔과 절망 속에서 기쁨을 주시는 것을 봅니다. 그리고 그래서 아버지, 우리가 충실하도록 도와주시고, 사랑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며, 동정심을 갖도록 도와주시고, 우리가 훈련을 잘 받아서 우리 안에 있지만 절망 가운데 있는 희망에 대한 이유를 제시할 수 있도록 도와주옵소서. 우리는 당신이 당신의 말씀을 존중할 것이라는 것과 정직한 사람들이 여전히 축복받은 사람들 속에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이것에 그리고 오늘 밤 이 토론과 내일 밤에 우리가 다룰 토론을 축복해 주옵소서. 왜냐하면, 우리가 기도하고 구한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신 분을 통하여, 심지어 우리의 주님과 우리의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이신 그분의 이름을 통하여 우리가 모든 것을 기도하고 구하기 때문입니다. 아멘.


이름 패스워드 비밀글